매립장 온실가스 280만톤 = 자동차 85만대 = 4인가구 56만세대

1222일 탄소배출권 39만톤을 127억원에 추가 판매 현재 534억원 세입

온실가스 감축, 세외수입 확보, 매립장 악취저감 13조 효과 톡톡!

 

대구시는 지자체 최초로 UN기후변화협약(UNFCCC)CDM사업으로 등록한 매립가스 자원화사업을 통해 확보한 탄소배출권 39만톤을 지난 1222일 판매해 127억원의 세외수입을 확보했다.

국제기후변화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CDM 사업이란

 

 

 

· (CDM사업_Clean Development Mechanism) UN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 발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있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서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수행해 얻게 감축실적을 자국의 감축량으로 인정받거나, 개발도상국이 독자적으로 달성한 감축실적을 UNFCCC 인증을 받아 감축 의무가 있는 국가에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된 제도

 

· (사 업 명) 대구 방천리 매립가스 청정개발체제(CDM)사업(등록번호 0851)

 

· (사업내용) 매립가스 자원화사업으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량을 UNFCCC로부터 인증받고
탄소배출권으로 발급받아 판매

 

 

그동안 대구시는 ’07매립가스 자원화사업UNFCCCCDM사업으로 등록해 매립가스의 메탄(CH4)을 한국지역난방공사의 보일러 연료로 활용한 양을 UN으로부터 온실가스 감축분으로 인증받아 ’21년 현재까지 280만톤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하고 지난 ’19년까지 196만톤을 판매해 408억원의 세외수입을 올린 바 있다.

무색·무취의 가연성 기체로 폐기물의 분해과정 등에서 생성되며 가정용·산업용·공장용 연료로 활용, 이산화탄소보다 20배정도 지구온난화에 기여하는 물질로서 대표적인 온실가스

 

 

이번에 시가 한국거래소를 통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이 부족한 기관에 판매한 탄소배출권 39만톤은 지난 ’178월부터 ’198월까지 2년간 매립가스 자원화사업으로 감축한 온실가스를 UN의 탄소배출권으로 발급받고 이를 국내 판매가 가능한 외부사업인증실적(KOC)**로 전환해 판매한 것으로 127억원의 세외수입을 추가로 확보했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할당대상 업체에 온실가스 배출할당량을 부과하는 제도

** UN에서 발급하는 탄소배출권을 국내 판매가 가능한 외부사업인증실적(KOC_Korean Offset Credit)으로 환경부 승인을 통해 전환

 

이로써 시는 ’07CDM사업 시작 이후 ’21년 현재까지 총 280만톤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하고 이중 236만톤을 판매해 535억원의 세외수입을 거둬들였고, 지난 ’20년부터 추진 중인 CDM사업 3차 갱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경우 ’28년까지 140만톤의 탄소배출권을 발급받아 약 430억원의 세외수입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전 지구적 탄소중립 이행을 다짐하는 국제 캠페인인 ‘Race To Zero’에 대구시가 전국 최초로 가입한 데 그치지 않고 폐기물 자원순환, 친환경 첨단산업 육성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적극 발굴·육성해 글로벌 탄소중립을 선도하고 저탄소 경제시대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매립가스 자원화 시설 전경

매립가스 자원화시설 전경.jpg

 

매립가스 포집공설치

매립가스 포집공 설치 전경.jpg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287 ‘금난새와 함께하는 마티네 콘서트’개최 2020.11.05 171792
1286 대구 광해군 태실’대구광역시 기념물 지정 file 2022.11.12 1281
1285 대구미술관 새해 첫 포문 대구포럼Ⅱ‘물, 불, 몸’ file 2023.01.27 985
1284 대구시, 지역 건설업체 수주 지원 확대를 위한 첫걸음 시작! file 2023.01.27 969
1283 달구벌건강주치의 사업, 후원금 전달식 및 사업 효과분석 통한 건강안전망 강화 file 2023.01.27 967
1282 대구시 공공기관 혁신사례 광주서 특강 file 2023.01.27 967
1281 2023년 시립예술단과 함께할 참신하고 유능한 인턴단원 모집! file 2023.01.27 961
1280 대구시, 설계VE(경제성검토)로 설계 가치 향상 및 재정 절감 기여 file 2023.01.31 896
1279 대구교통공사­대구소방안전본부 ‘대시민 심폐소생술 상설체험장’운영 file 2023.01.31 889
1278 대구시, 2022년 민선 8기 우수시책 TOP 10 선정 file 2023.01.31 862
1277 2022년 대구미술관 소장품 59점 수집 file 2022.10.29 587
1276 대구광역시, 메타버스 인재 양성과 발굴을 위한 교육생 모집 file 2023.07.18 472
1275 Composer Highlight; 낭만, 라흐마니노프를 만나다. file 2023.07.17 472
1274 입시정보 박람회 개최, 지역대학 우수인재 잡는다 file 2023.07.18 469
1273 대구교통공사, 최고 등급인 ‘우수’ 등급 획득 file 2024.02.29 464
1272 대구광역시, 지역 글로컬대학 지정에 총력 지원! file 2024.02.29 464
1271 대구여행을 함께 할 「대구대표 디저트」를 찾습니다. 대구 시그니처 디저트‘달디달구’공모전 개최(~8.14) file 2023.07.14 457
1270 대구광역시‘2024 기업지원통합가이드’발간 file 2024.03.04 448
1269 팔공산을 기억하고 기록하다 file 2023.07.17 447
1268 국제모바일기술박람회(MWC 2024) 지역기업 참가 file 2024.03.04 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