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2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경북도내 양봉농가 50명 대상 화분매개꿀벌 관리 기술교육 -

- 화분매개용 개량 벌통 적용기술 시범, 꿀벌 안정관리 기술시범 사업 등 추진 -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지난 19일 경북농업인회관에서 양봉농가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화분매개꿀벌 관리 기술교육을 실시했다. 지난해 꿀벌 대량 폐사로 화분매개꿀벌을 필요로 하는 참외, 딸기, 수 박 등 농가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어 화분매개 꿀벌의 안정적인 생산 과 공급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 ‘21/’22 동절기 약 269만 봉군 중 40만 폐사 피해, 양봉협회(‘21.12.기준) 화분매개곤충은 꽃가루를 식물에 옮겨 수정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해 농작물에 이용하면 수정률이 높아지고 생산성과 품질이 향상되며 노 동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 종류로는 꿀벌, 뒤영벌, 뿔가위벌류 등이 있다. ※ 작목별 화분매개곤충 이용율(%) : 딸기 100, 참외 93.1, 수박 92.7, 토마토 84.5 이날 꿀벌 소실에 대응 화분매개용 꿀벌의 관리와 이용방법에 대한 교육을 하고 경북지역 화분매개 꿀벌이 대량 사용되는 농작물인 참외 의 기본적인 재배 기술을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올해 경북도는 꿀벌 생산성 향상을 위해 화분매개용 개량 벌통 적용 기술 시범, 기후변화 대응 꿀벌 안정관리 기술시범 등 3개 사업을 10 농가에 추진할 계획이다.

 

또 국비 24억원을 확보해 예천 곤충연구소에 꿀벌 육성품종 증식장을 설치해 국내에서 개발한 우수한 꿀벌 품종을 현장에 신속하게 보급해 나갈 방침이다.

 

조영숙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올해도 월동꿀벌 폐사 피해가 예상 돼 2월이면 본격적으로 재배가 시작되는 참외 하우스에 수정용 화분 매개꿀벌 부족이 우려 된다”라며 “피해 최소화를 위해 양봉농가에 서는 꿀벌 사양관리에 만전을 기해 주시고 도에서도 꿀벌산업 안정화 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3)화분매개_꿀벌관리_기술교육(1).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025 사회 경북도, 2024년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위해 한자리  2023.10.27 93
1024 사회 경북도, 건설 분야 하반기 예산집행 속도 높인다!  2023.10.27 93
1023 이철우 도지사, 장애인일자리 모범기업 현장 목소리 들어…  2023.04.21 92
1022 경북도,「공공기관 에너지 다이어트 10」추진  2022.10.23 92
1021 소백산 안다미로 임산물유통센터, 전국 공모 선정  2022.10.23 91
1020 “세계시민으로 사는 경북인” 10여년의 기록이야기“아카이빙 북”발행  2023.04.20 91
1019 국내 최대 규모 호국·평화 축전 개최  2022.10.29 90
1018 더 나은 일상을 향해...경북디지털 대전환 가속화 박차  2023.04.21 90
1017 안전한 경북을 그려가는 「안전경북 365포럼」활동 개시!  2023.06.13 89
1016 경북잠사곤충사업장, 전문기업 손잡고 양잠산업 판 흔든다  2023.06.13 89
1015 경북소방, RIT·실화재 학술세미나 개최  2023.06.12 89
1014 경북도, ‘바이오산업엑스포’ 본격 준비 의지 다져  2023.06.12 89
1013 경제 「뿌리산업 제조공정혁신 지원을 위한 DX기반구축」사업 협약체결!  2023.11.02 87
1012 경제 풍기인삼연구소, 재배 쉬운 경북인삼 신품종 개발에 박차  2020.11.11 86
1011 경제 경북도 호치민사무소, 베트남 시장 개척에 앞장선다  2020.11.11 86
1010 경북도, 외국인 어선원 수급문제 해결을 위해 현장속으로…  2023.03.28 86
1009 경북이 주도하는 확실한 지방시대, 생생현장에서 답을 찾다  2023.03.29 86
1008 2023 전국생활체육대축전 성공 개최! 자원봉사자가 함께 뜁니다  2023.04.20 86
1007 「2022 경상북도 청소년 정책토론회」 개최  2022.12.03 85
1006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여정의 시작  2023.03.28 85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66 Next
/ 66